벨기에 프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기에 프랑은 1832년 벨기에 독립 이후 도입된 통화로, 프랑스 프랑과 동일한 가치를 지녔다. 이후 라틴 통화 동맹에 참여하며 금본위제에 연동되었으나, 1926년 벨가 도입과 함께 통화 동맹에서 탈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의 점령으로 가치가 고정되었으며, 종전 후 브레튼 우즈 체제에 편입되었다. 1999년 유로화 도입으로 은행 간 결제에서 사용이 중단되었고, 2002년 유로화와 함께 통용되다가 법적 효력을 잃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경제 - 라틴 통화 동맹
라틴 통화 동맹은 1865년 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스위스가 금과 은의 가치를 고정하여 통화를 상호 교환하기 위해 결성한 통화 동맹으로, 금은 복본위제를 채택했으나 금과 은의 가치 변동 등의 문제로 1927년 공식 해체되었다. - 벨기에의 경제 - 벨기에의 유로 주화
벨기에의 유로 주화는 유로존 가입 후 각 시기별 국왕의 초상을 디자인에 반영하여 발행되었으며, 알베르 2세에서 필리프 국왕으로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2유로 기념 주화와 수집용 주화도 발행된다. - 벨기에의 경제사 - 사베나
1919년 설립되어 벨기에 정부에 인수된 사베나는 브뤼셀을 거점으로 유럽과 아프리카 노선을 운항하며 벨기에 최대 항공사로 성장했으나 2001년 파산 후 SN 브뤼셀 항공을 거쳐 현재의 브뤼셀 항공으로 이어졌다. - 벨기에의 경제사 - 베네룩스
베네룩스는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3국이 역사적, 지리적 연관성을 바탕으로 경제·정치적 협력을 위해 결성한 연합체로서, 관세 동맹을 시작으로 베네룩스 경제 연합을 거쳐 현재는 안보, 지속가능한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는 베네룩스 연합으로 발전했다. - 프랑 - 콩고 프랑
콩고 프랑은 벨기에 프랑과 동일한 가치로 벨기에령 콩고 등지에서 사용되다가 자이르화로 대체되었으나, 이후 재도입되어 현재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통화로, 낮은 가치와 위조 문제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프랑 - 르완다 프랑
르완다 프랑은 르완다의 통화이며, 1964년 독립적으로 발행되어 동전과 지폐가 사용되고, 동아프리카 실링 도입이 추진 중이다.
벨기에 프랑 | |
---|---|
통화 정보 | |
현지어 통화 이름 | Belgische frank (벨기에어) Franc belge (프랑스어) Belgischer Franken (독일어) |
ISO 코드 | BEF |
사용 국가 | 벨기에 룩셈부르크 |
유럽 환율 메커니즘 (ERM) 가입일 | 1979년 3월 13일 |
유럽 환율 메커니즘 (ERM) 고정 환율 시행일 | 1998년 12월 31일 |
유로 대체 (현금 외 거래) | 1999년 1월 1일 |
유로 대체 (현금 거래) | 2002년 1월 1일 |
유럽 환율 메커니즘 (ERM) 고정 환율 | 40.3399 프랑 |
도입일 | 1832년 6월 5일 |
단위 | 프랑 |
보조 단위 비율 | 1/100 |
보조 단위 이름 | 상팀 (프랑스어: centime) 센티엠 (네덜란드어: centiem) 첸티메 (독일어: Centime) |
기호 | fr. |
보조 단위 기호 | c. |
복수 | 프랑 (프랑스어: francs) 프랑크 (네덜란드어: frank) 프랑켄 (독일어: franken) |
보조 단위 복수 | 상팀 (프랑스어: centimes) 센티엠 (네덜란드어: centiem) |
자주 사용되는 동전 | 1, 5, 10, 20, 50 프랑 |
드물게 사용되는 동전 | 50 상팀 |
자주 사용되는 지폐 | 100, 200, 500, 1000, 2000 프랑 |
드물게 사용되는 지폐 | 10,000 프랑 |
발행 기관 | 벨기에 국립은행 |
발행 기관 웹사이트 | 벨기에 국립은행 웹사이트 |
조폐국 | 벨기에 국립은행 |
조폐국 웹사이트 | 벨기에 국립은행 웹사이트 |
폐지 여부 | 예 |
이미지 | |
![]() |
2. 역사
나폴레옹 전쟁 이후 프랑스 프랑이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훗날의 벨기에)를 포함한 서유럽 지역에서 널리 유통되었으나, 네덜란드 연합 왕국이 수립되면서 네덜란드 길더로 대체되었다.
1832년 벨기에는 프랑스 프랑과 동일한 가치의 프랑을 도입했다. 룩셈부르크는 1848년에, 스위스는 1850년에, 이탈리아는 1862년에 각각 프랑과 비슷한 통화를 도입했다.
1921년 벨기에는 룩셈부르크와 통화 동맹을 맺고 룩셈부르크 프랑과 1:1 고정 환율을 시행했다. 1935년 환율이 일시적으로 1 벨기에 프랑 = 0.8 룩셈부르크 프랑으로 하락했으나, 1944년에 다시 1:1로 복귀했다.
벨기에 프랑은 2002년 2월 28일까지 유로와 함께 통용되었으며, 유로와의 교환 비율은 1 유로 = 40.3399 프랑이었다.[3]
2. 1. 벨기에 독립과 프랑 도입 (1832-1865)
네덜란드 왕국에서 독립한 벨기에 왕국은 1832년에 프랑스 프랑과 동일한 가치의 벨기에 프랑을 도입했다.[2]1832년 이전 벨기에 지역에서는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20 쉬버의 ''굴덴''(길더)이 사용되었다. 1581년부터 1816년까지 벨기에가 네덜란드 공화국에서 분리되면서 네덜란드 길더와 가치가 달랐다. 1816년부터 1832년까지는 네덜란드 연합 왕국의 네덜란드 길더가 사용되었다.
나폴레옹 전쟁 점령 이후 벨기에는 프랑스 프랑이 도입되었다. 1 프랑은 0.4725 굴덴(굴덴당 9.52g 은)과 같았고, 이로 인해 더 높은 가치의 네덜란드 길더 도입은 실패했다.[2] 벨기에 혁명 이후, 벨기에 왕국은 1832년 굴덴을 폐지하고 프랑스 프랑과 같은 벨기에 프랑을 도입했다.
이후 1848년 룩셈부르크, 1850년 스위스가 벨기에를 따라 프랑과 비슷한 통화를 도입했다. 1862년에는 통일된 이탈리아에서 비슷한 리라가 제정되었다.
2. 2. 라틴 통화 동맹 (1865-1926)
1865년, 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이탈리아는 라틴 통화 동맹을 창설했고,[4] 1868년에는 그리스도 이에 가입했다. 각국은 각자의 통화 단위(프랑, 리라, 드라크마)를 가지고 있었으며, 모두 1단위를 4.5g의 은, 또는 290.322mg의 순금과 등가로 하고, 어떤 통화와도 1:1로 교환이 가능하게 하였다. 1870년대에 금본위제가 정착되었지만, 이 라틴 통화 동맹의 체제는 1914년까지 유지되었다.[4]1926년,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벨기에에서는 화폐 가치가 하락하여, 통화에 대한 신뢰가 급격히 저하되었다. 이로 인해 국제 거래에서 새로운 금본위 통화인 벨가(5프랑과 등가)가 도입되었고, 벨기에는 라틴 통화 동맹에서 탈퇴했으며, 동맹은 그 해 말에 소멸되었다.
2. 3. 벨가 도입과 통화 동맹 탈퇴 (1926-1940)
1865년, 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이탈리아는 라틴 통화 동맹을 결성했고, 1868년에는 그리스도 이에 가입했다.[4] 각국은 각자의 통화 단위(프랑, 리라, 드라크마)를 가지고 있었으며, 모두 1단위를 4.5g의 은, 또는 290.322mg의 순금과 등가로 하고, 어떤 통화와도 1:1로 교환이 가능하게 하였다. 1870년대에 금본위제가 정착되었지만, 이 라틴 통화 동맹의 체제는 1914년까지 유지되었다.[4]1926년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벨기에에서는 화폐 가치가 하락하여, 통화에 대한 신뢰가 급격히 저하되었다. 이로 인해 국제 거래에서 새로운 금본위 통화가 도입되게 되어, 5프랑과 등가인 '''벨가'''가 제정되었고, 벨기에는 라틴 통화 동맹에서 탈퇴했으며, 동맹은 그 해 말에 소멸되었다. 벨가는 파운드 스털링에 대해 1파운드 = 35벨가(= 175프랑)로 고정되었고, 금에 대해서는 1벨가 = 순금 209.211mg으로 정해졌다.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브레튼 우즈 체제 (1940-1999)
1940년 5월 독일의 벨기에 점령 이후, 벨기에 프랑은 10 제국 페니히의 가치로 고정되었고, 1940년 7월에는 8 제국 페니히로 감소했다.[3] 1944년 해방 후, 벨기에 프랑은 브레턴 우즈 체제에 편입되었고, 10월 5일에 43.77 프랑 = 미국 달러의 초기 환율이 설정되었다. 이는 1946년에 43.8275 프랑 = 1달러로 변경되었고, 1949년 9월 파운드 스털링의 평가 절하 이후 50 프랑 = 1달러로 변경되었다.다른 10개의 유럽 통화와 마찬가지로, 벨기에/룩셈부르크 프랑은 1999년 1월 1일에 소멸되었으며, 1 유로 = 40.3399 벨기에/룩셈부르크 프랑으로 고정되었고, 따라서 1 프랑은 0.024789유로의 가치를 지녔다. 2002년 2월 28일에 구 프랑 동전과 지폐는 법정 통화 지위를 잃었다.
2. 5. 유로화 도입 (1999-2002)
1999년 1월 1일부터 벨기에 프랑은 유로로 대체되었으며, 교환 비율은 1 유로 = 40.3399 벨기에 프랑/룩셈부르크 프랑이었다.[3] 따라서 1 벨기에 프랑은 0.024789유로의 가치를 지녔다. 구 벨기에 프랑 동전과 지폐는 2002년 2월 28일에 법정 통화 지위를 잃었다.[3]3. 언어
벨기에는 3개의 공용어를 사용하는 국가이지만, 벨기에 동전에는 일반적으로 프랑스어와 플랑드르 네덜란드어 텍스트가 함께 표시되며, 동전이 어떤 지역을 대표하는지에 따라 유형이나 시대에 따라 한 가지 언어만 표시되기도 한다. 20세기 후반에 발행된 동전에서는 텍스트가 거의 예외 없이 두 종류의 동전으로 나뉘어, 플랑드르어 동전에는 België|벨기에nl와 Frank|프랑nl이, 프랑스어 동전에는 Belgique|벨기에프랑스어와 Franc(s)|프랑프랑스어이 표기되었다.[4]
처음에는 통화가 프랑스어로만 표기되었다. 1886년부터 일부 벨기에 동전에는 네덜란드어 문구도 사용되었다. 이후의 일부 동전에는 두 언어 모두 표기되었다. 두 언어가 동전의 같은 면에 나타날 때에도 두 가지 버전이 제작되었다. 하나는 네덜란드어가 왼쪽에, 프랑스어가 오른쪽에 표기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 반대였다. 지폐는 1887년에 이중 언어화되었고,[4] 1992년부터는 앞면에 프랑스어 또는 네덜란드어, 뒷면에 독일어와 나머지 언어가 표기된 삼중 언어 지폐가 도입되었다.
일부 기념 주화는 독일어 문구로 발행되었지만, 유통되지는 않았다.
4. 벨기에 내 룩셈부르크 프랑 사용
1944년부터 2002년까지 1 룩셈부르크 프랑은 1 벨기에 프랑과 가치가 같았다. 두 프랑은 모두 양국에서 법정 통화였다. 그럼에도 룩셈부르크 지폐로 결제하는 것은 벨기에 상점 주인들이 흔히 거부했는데, 이는 지폐에 대한 무지나 다른 고객들이 해당 지폐를 거부할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상점 주인들은 은행에서 지폐 가치를 환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1]
5. 동전
Ni : 25 %
Sn : 3 %
Zn : 3 %
Ni : 25 %
Ni : 6 %
Ni : 6 %
Ni : 25 %
Al : 6 %
Ni : 2 %
Al : 6 %
Ni : 2 %
Ni : 6 %
Al : 2 %
Ni : 6 %
Al : 2 %